섬유아세포에서 프로모터 다형성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Study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by Promoter Polymorphism in Human Dermal Fibroblast
 
- Authors
 - 이진우; 정유정; 봉심규; 박노준; 이상헌; 노민수; 임경민; 김수남
 
- Issue Date
 - 2021-09
 
- Publisher
 - 대한화장품학회
 
- Citation
 - Journal of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7, no.3, pp.205 - 212
 
- Abstract
 - 본 연구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TNF-α를 처리하면 세포에 따라 MMP-1의 발현이다르게 나타나는데, 이것이 MMP-1 프로모터의 다형성에 의해서 나타남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판하는23 종의 primary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MMP-1 프로모터의 ?1607 부위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6 개의 1G/1G 유전형, 10 개의 1G/2G 유전형, 7 개의 2G/2G 유전형을 가진 섬유아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Hs68과 Detroit 551 세포주는 1G/2G 유전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G/1G 유전형은 TNF-α 처리에 의해 대조군에 비해MMP-1이 2 배 높게 발현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1G/2G 유전형의 경우는 TNF-α 처리에 의해 MMP-1이 2.45 배 높게 발현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는 1.4 배 MMP-1이 발현되었다. 2G/2G 유전형의 경우는 TNF-α 처리에 의해 MMP-1이 1.35 배 발현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는 2.5 배로 높게 발현되었다. 즉 1G 유전형은 TNF-α에 의해, 2G 유전형은 자외선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1607 위치에 하나 더 삽입된 G에 의해서 Ets 전사인자가 결합할 수 있는 site가 만들어져서 MMP-1의 발현이증가한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피부 노화와 관련하여 섬유아세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전혀 진행되어 있지않아서 향후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피부는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기관이므로, 피부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타겟으로 MMP-1의 발현을 분석할 경우에는 실험 조건에 적합한 유전형을 가지는세포를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 Keywords
 - MMP-1 promoter; -1607 1G/2G polymorphism; fibroblast; TNF-α; UVB
 
- ISSN
 - 1226-2587
 
- URI
 - 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16501
 
- DOI
 - 10.15230/SCSK.2021.47.3.205
 
- Appears in Collections:
 - KIST Article > 2021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