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주영-
dc.contributor.author박정구-
dc.contributor.author정을규-
dc.contributor.author윤승진-
dc.contributor.author진성민-
dc.contributor.author정종수-
dc.date.accessioned2024-01-20T14:02:40Z-
dc.date.available2024-01-20T14:02:40Z-
dc.date.created2021-09-06-
dc.date.issued2012-09-
dc.identifier.issn2288-9167-
dc.identifier.uri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288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료 제조공장을 대상으로 악취물질 배출 실태와 공정별 악취관리 문제점 및 개선사례를 조사여 효율적인 악취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20개 조사 사업장 중 악취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사업장은 10개 사업장이었고, 대부분 악취관리지역에 소재한 사업장으로 나타났다. 이는 악취관리지역 지자체의 지속적인 단속과 함께 사업장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악취관리지역 지정의 확대가 악취배출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활성탄흡착시설의 경우 활성탄의 교체 주기에 따라 배출구 악취농도 차이가 크고, 농축-산화장치(CTO)를 설치한 사업장은 배출구 복합악취 희석배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도료의 제조 공정별 악취발생 원인과 시설 개선을 통해 악취발생을 저감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냄새환경학회-
dc.title국내 도료 제조시설의 악취물질 배출실태 및 개선사례 연구-
dc.title.alternativeGaseous Odor Release in the Paint Manufacturing Plants and Cases of Process Improvement for Reduction-
dc.typeArticle-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11, no.3, pp.112 - 118-
dc.citation.title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12-
dc.citation.endPage118-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other-
dc.identifier.kciidART001701865-
dc.subject.keywordAuthor악취-
dc.subject.keywordAuthor도료-
dc.subject.keywordAuthor악취관리지역-
dc.subject.keywordAuthor복합악취-
dc.subject.keywordAuthorOdor-
dc.subject.keywordAuthorPaint-
dc.subject.keywordAuthorOdor management district-
dc.subject.keywordAuthorOdor emission standard-
Appears in Collections:
KIST Article > 201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