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ontributor.author김정화-
dc.contributor.author김현구-
dc.contributor.author최종호-
dc.contributor.author김승기-
dc.contributor.author표희수-
dc.date.accessioned2024-01-20T22:33:36Z-
dc.date.available2024-01-20T22:33:36Z-
dc.date.created2021-09-06-
dc.date.issued2008-10-
dc.identifier.issn1225-0163-
dc.identifier.uri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33089-
dc.description.abstract1,4-Dioxane은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발암가능그룹으로 분류 하고 있으며,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1,4-dioxane의 권고기준농도를 50 ng/mL로 설정하고 있 다. 이러한 1,4-Dioxane의 독성과 음용수의 섭취량을 고려할 때, 음용수 섭취로 인한 인체 유해영향이 우 려되고 있으며, 따라서 1,4-dioxane의 검출이 빈번한 낙동강 수계의 정수 및 원수의 모니터링은 중요성을 갖는다. 낙동강 수계 정수장 시료 중 1,4-dioxane 농도를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모니터링 한 결과 정수 는 0.24~240.20 ng/mL의 농도 범위로 22.68 ng/mL의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원수는 0.39~81.90 ng/mL 의 농도범위로 19.15 ng/mL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2004년 수질감시항목 지정 이후 1,4-dioxane의 평균검출 농도는 저감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검출빈도는 변화가 없었다.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된 2004 년 이전과 이후의 위해도 평가 결과 낙동강 수계에서의 95 percentile 초과발암위해도 값이 2004년 이전 의 정수는 6.63×10?6, 원수는 3.17×10?6로 나타났으며, 2004년 이후의 정수는 2.10×10?6, 원수는 1.22×10?6 로 나타나 2004년 이후 초과발암위해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계절별로 비교했을 때 봄·겨 울에 주로 많이 검출되었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분석과학회-
dc.title낙동강 수계 중 1,4-dioxane의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dc.title.alternative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1,4-Dioxane in Nakdong river-
dc.typeArticle-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분석과학, v.21, no.5, pp.383 - 391-
dc.citation.title분석과학-
dc.citation.volume21-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383-
dc.citation.endPage391-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identifier.kciidART001287188-
dc.subject.keywordAuthor1-
dc.subject.keywordAuthor4-dioxane-
dc.subject.keywordAuthordrinking water-
dc.subject.keywordAuthormonitoring-
dc.subject.keywordAuthorrisk assessment-
dc.subject.keywordAuthorGC/MS-
Appears in Collections:
KIST Article > 200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