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채원-
dc.contributor.author이동규-
dc.contributor.author권학철-
dc.contributor.author이승연-
dc.date.accessioned2025-01-20T02:00:15Z-
dc.date.available2025-01-20T02:00:15Z-
dc.date.created2025-01-17-
dc.date.issued2024-12-
dc.identifier.issn1225-5009-
dc.identifier.uri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51599-
dc.description.abstract갯취(Ligularia taquetii)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반도 특산식물로, 관상가치가 뛰어나지만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에서 취약종(VU)으로 분류되며 보존이 필요한 종이다. 본 연구는 갯취 종자의 휴면 유형을 분류하고, 후숙 처리 효과를 확인하여 보존을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2년과 2023년에 채종한 종자를 사용하여 온도, 저온 습윤, GA3, 후숙 처리 실험을진행하였다. 갯취 종자는 수분을 원활하게 흡수하였고, 모체에서 탈리될 때 배가 형태적으로 완전히 발달한 상태였다. 4, 15/6, 20/10, 25/15℃에서 배양한 결과, 4주간 발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 PD)으로 분류하였다. 후숙 처리를 하지 않거나 6주간 후숙 처리만 한 종자의 발아율은 20% 미만이었으나, 후숙 처리 후 8주 동안 저온습윤 처리한 종자의 발아율은 70%로 증가하였다. 또한, 후숙처리 후 GA3 100 mg·L?¹ 농도 처리 시 49% 발아하였다. 따라서, 갯취 종자의 PD를 타파하기 위해 후숙 후 저온 습윤 또는GA3 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화훼학회-
dc.title한반도 특산식물 갯취 종자의 후숙 처리에 의한 생리적 휴면 타파-
dc.title.alternativeAfter-ripening is Required for Breaking Physiological Dormancy in the Seeds of Ligularia taquetii, an Endemic Perennial Herb in Korea-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11623/frj.2024.32.4.0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화훼연구, v.32, no.4, pp.290 - 295-
dc.citation.title화훼연구-
dc.citation.volume32-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90-
dc.citation.endPage295-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identifier.kciidART003156032-
dc.subject.keywordAuthor저온 습윤 처리-
dc.subject.keywordAuthor보존-
dc.subject.keywordAuthor특산 식물-
dc.subject.keywordAuthorGA3 처리-
dc.subject.keywordAuthorcold stratification-
dc.subject.keywordAuthorconservation-
dc.subject.keywordAuthorendemic plants-
dc.subject.keywordAuthorGA3 treatment-
dc.subject.keywordAuthorornamental plants-
Appears in Collections:
KIST Article > 202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