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김희진 | - |
| dc.contributor.author | 이민욱 | - |
| dc.date.accessioned | 2025-11-06T09:33:37Z | - |
| dc.date.available | 2025-11-06T09:33:37Z | - |
| dc.date.created | 2025-11-04 | - |
| dc.date.issued | 2025-10 | - |
| dc.identifier.issn | 2288-2103 | - |
| dc.identifier.uri | 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53418 |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고온 운전과 무용매 열재생이 가능한 흡착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하여, 전기방사-전기분사 동시 공정으로 PMIA-SiO2 복합 멤브레인을 제작하였다. 전기방사 유량 조절을 통해 균일한 나노섬유-에어로젤 분 산 구조와 158 m2 /g의 비표면적을 확보하였다. TGA/DTG 분석에서 PMIA는 약 400o C 이상에서 분해가 시작되었 고, SiO2 에어로젤은 800o C까지 잔류하여 무기 성분의 열적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메틸렌 블루(MB) 흡착 실험에 서는 pH 7 조건에서 최대 67% 제거율을 보였으며, 200o C 열처리로 무용매 재생의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본복합멤브레인이고온조건에서선택적흡착과반복재생이가능한기초플랫폼으로활용될수있음을시사한다. | - |
| dc.language | English | - |
| dc.publisher | 한국복합재료학회 | - |
| dc.title | 전기방사-전기분사 공정을 통한 PMIA-SiO2 복합 멤브레인의 제조와 흡착 및 고온 안정성 평가 | - |
| dc.title.alternative | PMIA-SiO2 Composite Membranes Prepared by ElectrospinningElectrospraying: Adsorption Performance and High-Temperature Stability | - |
| dc.type | Article | - |
| dc.identifier.doi | 10.7234/composres.2025.38.5.547 |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Composites Research, v.38, no.5, pp.547 - 552 | - |
| dc.citation.title | Composites Research | - |
| dc.citation.volume | 38 | - |
| dc.citation.number | 5 | - |
| dc.citation.startPage | 547 | - |
| dc.citation.endPage | 552 |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 dc.subject.keywordAuthor | 메틸렌 블루 흡착(Methylene blue adsorption) | - |
| dc.subject.keywordAuthor | 무용매재생(Solventfree regeneration) | - |
| dc.subject.keywordAuthor | PMIA-SiO2 복합 멤브레인(PMIA-SiO2 composite membrane) | - |
| dc.subject.keywordAuthor | 전기방사-전기분사 동시 공정 (Electrospinning/electrospray combined proces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