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Kim, Gyeung Ho-
dc.contributor.authorYoon, Jin Kook-
dc.contributor.author김기태-
dc.contributor.author한준현-
dc.contributor.author김혜성-
dc.contributor.author김우진-
dc.contributor.author김희수-
dc.date.accessioned2024-01-12T04:39:49Z-
dc.date.available2024-01-12T04:39:49Z-
dc.date.created2021-09-29-
dc.date.issued2019-10-24-
dc.identifier.issn--
dc.identifier.urihttps://pubs.kist.re.kr/handle/201004/78359-
dc.description.abstract전통유기 합금은 한국의 전통금속으로서 삼국시대에 이르러 열처리와 열간 가공을 활용하는 방짜유기가 출현한 후 다양한 형태 및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제기나 식기로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방짜유기 합금은 주석을 중량으로 22% 함유하는 구리 합금으로서 크게 고주석 청동으로서 분류되며 용해, 주조 그리고 650~700°C의 고온에서 성형 및 담금질을 통해 얻어지는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 (β‘ 상)과 구리고용체 상(α)을 가지게 됨으로서 공냉조직의 취성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동시에 담금질에 의한 변형과 약 300°C의 온도 이상에서 사용이 제한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가스 및 연속주조, 고온성형, 열처 리 및 표면처리와 같은 현대적 공정기술을 전통유기 합금의 제조에 접목시켜 다양한 물성의 향상을 시도하였으며 첨단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전통유기의 미세구조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궁극적으로 최적화된 공정기술의 도입 및 활용을 통해 전통유기 합금의 여러 물성을 개선하고 산업적 가치를 높임으로서 기능성 금속으로서 산업 경쟁력을 가지는 현대적 유기 합금으로 발전할 수있을 것이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금속재료학회-
dc.title첨단 공정 / 분석기술의 활용을 통한 전통 방짜유기 합금의 재발견-
dc.typeConference-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2019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dc.citation.title2019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dc.citation.conferencePlaceKO-
dc.citation.conferencePlace대구컨벤션센터-
dc.citation.conferenceDate2019-10-23-
dc.relation.isPartOf2019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Appears in Collections:
KIST Conference Paper > 201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