뇨시료에 함유된 7-keto-DHEA-acetate의 대사체에 관한 연구 (II)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etabolites for 7-keto-DHEA-acetate in human urine (II)
Authors
김연제이진희
Issue Date
2004-10
Publisher
한국분석과학회
Citation
분석과학, v.17, no.5, pp.401 - 409
Abstract
7-keto-DHEA-acetate는 DHEA의 대사체인 7-keto-DHEA로 변하고 체내에서 대사되는 과정이 서로 유사하였으며 복용 후 검출된 대사체 M3, M4 및 M5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사체 M3과 M4는 분자량이 304이며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세 개 이상 가진 구조로 예상되었으며, M3의 경우 3번과 7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1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를 가지는 7-OH-DHEA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사체 M4는 3번과 17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는 구조인 7-oxo- diol 이었다. 대사체 M5는 분자량이 320이며 M3 및 M4와는 달리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네 개 이상 가진 구조일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며, 3번과 7번 그리고 16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그리고 1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7-keto-DHEA-acetate 복용 후 최대 배설량을 보인 대사체는 7-OH-DHEA 이었으며, 복용 5시간 후 최대의 배설량을 보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체외로 배설되기도 하지만 복용 58시간 후의 뇨 시료에서도 검출되기 때문에 체내 잔류성이 높은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7-keto-dehydroepiandrosterone-acetate; dosed human urine; metabolite M3; metabolite M4; metabolite M5; LC/ESI/MS; GC/MS; 7-keto-dehydroepiandrosterone-acetate; dosed human urine; metabolite M3; metabolite M4; metabolite M5; LC/ESI/MS; GC/MS
ISSN
1225-0163
URI
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37176
Appears in Collections:
KIST Article > 200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