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華永-
dc.contributor.author吳鐘基-
dc.contributor.author金成奎-
dc.date.accessioned2024-01-21T10:12:28Z-
dc.date.available2024-01-21T10:12:28Z-
dc.date.created2021-09-06-
dc.date.issued2002-08-
dc.identifier.issn2765-3439-
dc.identifier.uri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39334-
dc.description.abstract폐자동차 파쇄를 통한 주요구성물질의 분리 및 분석평가를 위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재인 폐자동차 차피로는 국내 자동차 업체에서 제작한 Sonata II, Sephia 및 Prince의 3종을 선택하여 엔진부분과 타이어 및 문짝 등을 미리 제거하고 압축된 상태로 제공 받았다. 현장설비의 주요 공정은 pre- 및 main-shredder, 분급기, 자선기, 와류선별기 및 수작업 분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shredder 산물의 현장 분리실험결과 철 스크랩이 전체의 60.1%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알루미늄, 구리 및 아연 등의 비철금속류는 약 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Light fluff는 fluff 전체 중량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5 cm undersize 가 70.5%로써 대부분이었고 나머지는 플라스틱, 섬유 및 스폰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heavy fluff의 경우에는 고무와 플라스틱이 주구성물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열량의 경우 플라스틱이 10,000 cal/gr을 상회하여 가장 높았고 가죽과 고무류가 각각 10.3 및 2.55 wt%의 비교적 높은 Cl함량을 보였다.-
dc.publisher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dc.title廢自動車 破碎를 통한 主要構成物質의 分離 및 分析評價-
dc.title.alternativeAnalysis and Separation of Constituent Materials of Old Car by Shredding Process-
dc.typeArticle-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자원리싸이클링, v.11, no.4, pp.11 - 16-
dc.citation.title자원리싸이클링-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1-
dc.citation.endPage16-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other-
dc.identifier.kciidART000893267-
dc.subject.keywordAuthor폐자동차-
dc.subject.keywordAuthor슈레딩-
dc.subject.keywordAuthor자력선별-
dc.subject.keywordAuthor와류선별-
dc.subject.keywordAuthor플러프-
dc.subject.keywordAuthorold car-
dc.subject.keywordAuthorshredding-
dc.subject.keywordAuthormagnetic separation-
dc.subject.keywordAuthoreddy current separation-
dc.subject.keywordAuthorfluff-
Appears in Collections:
KIST Article > 200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