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oil Characteristics on Aquifer Microbial bioavailability using FDA in the Presence of Arsenic and Nitrate

Other Titles
비소 및 질산성질소 존재시 FDA를 이용한 대수층 미생물 활성도의 토양 특성 영향
Authors
Miyeon LeeAhn, YongtaeHo young JoChoi Jae Young
Issue Date
2019-04
Publisher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Citati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Abstract
기후변화의 심화에 따른 다양한 가용수 확보의 목적으로 안정적인 수자원인 지하수가 주목받으면서,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지하수 사용시 각 용도별 수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생활용수 및 식수로 사용시 수인성 미생물에 의한 오염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측정방법 중 하나인 FDA(fluorescein diacetate, 3‘,6’-diacetylfluorescein)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내 미생물의 활성도(bioavailability)를 측정하였으며, 광물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하수에서 비소와 질산성질소 오염 존재 시 미생물 활성도 평가하였다. 지하수 모사를 위해 nutrient/buffer solution(K2HPO4 0.5 × 10-5 M, NH4NO3 2.5 × 10-3 M, NaOAc 1.5 × 10-2 M, NaHCO3 1.0 × 10-3 M)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조건에 맞추어 광물을 주입하고 국내 대수층에서 흔히 발견되는 미생물인 Pseudomonas jinjuenesis을 접종 후, 시간에 맞추어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FDA법을 이용하여 미생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비소 3가(As3+), 비소 5가(As5+) (1 ppm)와 질산성질소(NO3-) (20 ppm)가 미생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sand와 Fe oxide인 hematite가 함께 존재 시 가장 큰 흡광도를 보였고, sand와 clay인 bentonite는 가장 작은 흡광도를 보였다(그림 1. (a)). 또한, 비소 존재 시에 비오염 수질에서 모든 토양의 특성에서 활성도가 낮았으며, 특히 더 독성이 높은 3가에서는 비오염대비 미생물의 활성도가 약 60%, 5가에서는 약 40% 감소했다(그림 1. (b, c)). 질산성질소의 경우 미생물이 성장하면서 N을 영양소로 사용하여 약 30% 증가한 활성도를 보였다(그림 1. (d)).
Keywords
Soil characteristics; FDA; Arsenic(As3+,5+); Nitrate(NO3-)
ISSN
-
URI
https://pubs.kist.re.kr/handle/201004/78963
Appears in Collections:
KIST Conference Paper > 201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