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Yae Rin Yoo | - |
dc.contributor.author | Jimin Park | - |
dc.contributor.author | Lim, Yoon seob | - |
dc.contributor.author | Jee Eun Sung, | - |
dc.date.accessioned | 2025-09-01T00:30:18Z | - |
dc.date.available | 2025-09-01T00:30:18Z | - |
dc.date.created | 2025-08-01 | - |
dc.date.issued | 2025-06 | - |
dc.identifier.issn | 2288-1328 | - |
dc.identifier.uri | https://pubs.kist.re.kr/handle/201004/153092 | - |
dc.description.abstract |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물 유창성 검사의 정반응 채점 기준을 구체화하고, 한국인의 동물 분류 인식을 반영한 동물 군집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물 유창성 검사의 자동 분석 방법을 설계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후 공개 배포하고자 하였다. 자동 분석의타당성 검증을 위해 수동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집단 간 정반응 수, 전환 수, 평균 군집 크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방법: 본연구의 대상자는 정상 청년 275명과 노년 374명으로, 1분간 동물 유창성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정반응 수, 전환 수, 평균 군집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 5개의 정반응 세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동물 군집 기준을 상위 2개와 하위 14개로 구체화하였다. 더불어 각 기준에 부합하는 세부 동물 예시 목록을 제시하였다. 수동 분석에는 대학원생 14인이 참여하였으며, 자동 분석은 GitHub로 배포하였다. 결과: 자동 및 수동 분석 간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관계가 드러났으며, 청년층이 노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정반응 수, 높은 전환 수, 큰 평균 군집 크기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상자들의 동물 유창성 검사 수행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구체적인 기준과 예시를 마련하였으며, 자동 분석 방법을 설계 및 공개하여 임상과 연구 현장에서의 분석 용이성 증진에 기여하였다. | - |
dc.language | Korean | - |
dc.publisher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 |
dc.title |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Establishing Automated Analysis Systems in the Animal Fluency Task Reflecting Korean-specific Clustering Criteria | - |
dc.type | Article | - |
dc.identifier.doi | 10.12963/csd.250095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30, no.2, pp.395 - 411 | - |
dc.citation.title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dc.citation.volume | 30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395 | - |
dc.citation.endPage | 411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scopus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identifier.kciid | ART003225046 | - |
dc.type.docType | Y | - |
dc.subject.keywordAuthor | Automated analysis | - |
dc.subject.keywordAuthor | 채점 및 군집 분석 기준 | - |
dc.subject.keywordAuthor | Scoring and clustering criteria | - |
dc.subject.keywordAuthor | 핵심어: 동물 유창성 검사 | - |
dc.subject.keywordAuthor | 자동 분석 | - |
dc.subject.keywordAuthor | Keywords: Animal fluency task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